일상이야기/생활정보

은행사이트 이용전 바이러스 감염여부 검사하기

팃톨리 2020. 9. 17. 07:32

 

 

작성일 : 2015/10/12

 

 

 

며칠전 국민은행에서 공인인증서 재발급을 받으려고 하는데
뭔가 이상하고 혼동스러워서 국민은행에 전화를 해서 문의한적이 잇습니다.


사업자로 하여 공인인증서 재발급을 받으려고 하는과정에서
계좌번호와 비밀번호 입력하는 란이 나타나는데
통장 계좌번호와 비밀번호가 자동으로 입력이 되는것입니다.
그래서 이러한 내용을 상담사에게 얘기했더니 국민은행에서는
어떠한 경우라도 계좌번호와 비밀번호가 자동으로 입력되는 경우는 없다는 것입니다.


그러면서 바이러스에 감염되었을 수도 있고 악성코드가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을 수가 있으니
먼저 검사를 하고 한국인터넷진흥원 연락처를 알려드릴테니..
검사를 받아보라는것이었습니다.
바이러스 감염여부 확인을 하지 않고는 절대로 공인인증서 재발급을 받지 말라고 하고..
또 원한다면 피해신고도 해준다는것이었습니다.
피해신고를 하게 되면 통장 사용을 못하게 되서 원치 않는다고 했지만..
은근 겁이나더라고요!

 


저는 백신프로그램으로 v3를 주로 사용하고 다른 백신프로그램은 설치를 하지 않는데
정말 이상해보였습니다.
그래서 한국인터넷진흥원으로 전화를 했더니.. 파밍 1 의 가능성이 많다는것이었습니다.
사실 저는 국민은행 사이트에 직접 주소 입력을 하고 들어가기 때문에

파밍사이트로 갈 확률이 거의 없습니다.

더보기

파밍사이트란?

해적사이트, 유령사이트, 마치 진짜 홈페이지처럼 똑 같은 사이트를 만들어놓고 개인정보를 빼가려는 사이트

 

그런데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는 파밍을 가능성이 많다고..
이런 저런것 묻지도 않고 그런 말을 하는데 ..
좀 신뢰가 가지 않더군요!


정확한 진단을 내려주지 않고 형식적이라는 느낌이 많이 들었습니다.
그러면서 사이트를 하나 알려주는것이었습니다.


바로 보호나라 사이트입니다.

 

 

주소는 http://bogo.or.kr 

 

위 사이트에서 가서 바이러스 감염여부를 검사해보라고 하더군요!


보호나라에서 바이러스 감염여부 확인하기


내 컴퓨터 바이러스 감염여부확인 및 치료를 하기 위해서..
보호나라 사이트 상단 메뉴중에서 "다운로드-맞춤형 전용백신"을 

선택합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은 리스트가 열립니다. 

리스트에서 가장 위에 있는 "감염PC 맞춤형 전용백신 (1~000차 누적 통합본)"

이라고 적힌 줄의 오른쪽의 다운로드를 누릅니다. 

 

 

 

 

바이러스 감염여부 검사를 할 수 있는 전용백신 실행화면입니다.
바이러스 검사를 하려면 모든 파일 검사를 하는것이 좋습니다.
그래서 전체검사를 체크하고 "검사와 동시에 치료"를 클릭하면 검사가 시작됩니다.

 

 

 


여기서 검사를 해도 아무 결과가 나오지 않으면..
바이러스나 악성코드가 2차 변형이 되었을 수가 있기 때문에 ..
컴퓨터 제조사로 연락을 해서 서비스를 받으라는것입니다.

 

 


헉..
컴퓨터 제조사에 이런 바이러스 점검을 해주나 봅니다.
제 생각에는 컴퓨터 제조사에 연락해서 처음 상태로 되돌리라는 의미인것 같습니다.
하지만 컴퓨터에 설치된 프로그램이 종류도 많고, 데이터도 많은 상태라고 다 백업을 하고 재설치를 해야 하는데
쉽지 않은 일이었습니다.

 

 

 

 

바이러스 감염여부 알약으로 검사하기..


그래서 다음 방법으로 알약을 이용하여 검사를 해보기로 했습니다.

 

알약은 바이러스보다는 악성코드 몇개를 진단하더군요!
그 중에는 제가 사용하고 있는 안전한 프로그램도 악성코드로 분류를 하고
몇개는 모르는 프로글램이어서 치료를 했드랬죠.


그래서 공인인증서 재발급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동일했습니다.
그래서 어쩔 수 없이 .. 초기화는 못하고
익스플로러에서 하지 않고 구글 크롬을 이용하여 공인인증서 재발급을 받았습니다.
크롬은 익스플로러보다 보안이 더 잘 되기도 하고
익스플로러에서 나타났던 계좌번호 자동입력이 되는 현상은 없었습니다.


혹시라도 이 글을 읽는 분들 중에도 은행사이트 이용하다가 계좌번호나 비밀번호가 자동으로
입력되어 있다면.. 바이러스 감염여부를 검사해보시기 바랍니다.
감염되고 바로 검사해야 검색이 되고 시간이 흘러 변형이 되는경우 검색이 안될 수도 있기때문에
자주 검삭해보는것이 좋은 방법이 아닐까 합니다.